분류 전체보기 337

3월 15일부터 시행되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핵심내용 4가지

2023년 3월 14일에 1년 후 시행을 공포했던 일부 규정이 적용되는 날이 다가오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내용 5가지를 꼽아본다. 1. AI를 비롯한 자동화된 결정에 대한 정보주체 권리 구체화 인공지능(AI)에 대한 기술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고, 이에 따라 그를 위한 법제화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AI의 기술 발전이 너무 빠르고, 일상에 스며드는 속도도 빠르다 보니, 법이 그를 따라잡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앞으로도 꾸준히 AI와 관련된 개정과 신설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람의 개입이 없는 완전히 자동화된 결정이 내려지는 영역으로는 크게 ① 개인정보 처리의 투명성 확보 ② 정보의 제공 등 대응권 보장 2가지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자동화된 결정'이란, 사람의 개입 없이..

보안/뉴스 2024.03.06

GCP 기초 #7

[7주차] 클라우드의 애플리케이션학습목표1. Cloud Functions이 구글 클라우드에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 설명하기 2. Cloud Run의 목적과 사용사례 파악하기3. Cloud Run에 컨테이너형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7-1] Cloud Run지금까지 우리는 구글 클라우드에 대해 학습했고, 클라우드에서 가상 머신, 네트워크, 스토리지와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옵션과 이점에 대해 살펴 보았다. 그리고 이제는 클라우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에 집중한다. 먼저 클라우드 런으로 시작한다. 클라우드 런은 웹 요청이나 Hub 하위 이벤트를 통해 스테이트리스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관리형 컴퓨트 플랫폼이다. 클라우드 런은 서버가 없는 서버리스다. 즉, 그것은 모든 인프라 관..

보안/교육 2024.03.05

GCP 기초 #6

[6주차] 클라우드의 컨테이너학습목표1. 컨테이너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것의 용도를 식별하기2. 쿠버네티스와 구글 쿠버네티스 엔진의 목적고 사용사례 파악하기[6-1] 컨테이너 소개이번 섹션에서는 컨테이너를 살펴보고, 컨테이너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이해하도록 한다.IaaS를 이용하면, 하드웨어를 가상화하기 위해 가상 머신을 사용함으로써 컴퓨트 리소스를 다른 개발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개발자는 그들의 OS를 배포하고, 하드웨어에 엑세스하며, RAM, 파일 시스템, 네트워킹 인터페이스 등에 엑세스할 수 있는 자체 포함 환경에서 그들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가 바로 컨테이너가 들어오는 지점이다. 컨테이너의 아이디어는 패스 내 워크로드의 독립적인 확장성과 IaaS 내 OS와 하드웨어의 ..

보안/교육 2024.03.05

GCP 기초 #5

[5주차] 클라우드의 스토리지학습목표1. 클라우드 SQL과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2. 구글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옵션들을 구분하기3. 클라우드 스토리지 클래스들을 구분하기4.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목적과 사용 용례를 파악하기[5-1] 구글 클라우드 스토리지 옵션모든 애플리케이션은 스트리밍될 미디어와 같은 데이터 또는 심지어 장치에 있는 센서 데이터까지도 저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과 워크로드에 따라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은 달라진다. 구글 클라우드는 정형, 비정형, 트랜잭션형, 그리고 관계형 데이터에 대한 스토리지 옵션을 갖고 있다. 이번 섹션에서 우리는 구글 클라우드의 5가지 제품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클라우드 SQL, 클라우드 스패너, 파이어스토어,..

보안/교육 2024.03.04

GCP 기초 #4

[4주차] 클라우드에서의 가상 머신과 네트워크학습목표1. 기본 인프라를 구글 클라우드에 배포하기2. 구글 클라우드에서 클라우드 로드 밸런싱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 보기3. 라우팅 테이블, 방화벽, VPC 피어링을 포함한 중요 VPC 호환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 보기4. 구글 컴퓨트 엔진의 목적과 사용 사례 파악하기5. 구글 클라우드에서 네트워킹의 기본 파악하기6. 구글 컴퓨트 엔진이 어떻게 확장할 수 있는지 개략적으로 설명하기[4-1] 가상 프라이빗 클라우드 네트워킹이번 섹션에서는 어떻게 구글 컴퓨트 엔진이 가상 네트워킹에 중점을 두고 작동하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구글 클라우드의 많은 사용자는 자신의 가상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그들의 첫 번째 구글 클라우드 프로젝트 내부에 정의하거나 디폴트 가상 프라..

보안/교육 2024.03.03

GCP 기초 #3

[3주차] 클라우드에서의 리소스와 엑세스학습목표1. IAM의 목적과 사용 사례를 정의하기2. 구글 클라우드와의 상호 작용 방법을 나열하기3.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를 사용하여 구글 클라우드와 상호 작용하기4. 구글 클라우드에서 프로젝트의 목적을 파악하기[3-1] 구글 클라우드 리소스 계층이번 섹션에서는 구글 클라우드의 기능 구조에 대해 살펴 본다. 구글 클라우드의 리소스 계층에는 4가지 레벨이 존재한다. 제일 아래인 리소스부터, 프로젝트, 폴더, 조직 노드에 이르기까지 4개가 존재하는 것이다. 첫 번째 레벨인 리소스는 가상 머신, 클라우드 스토리지 버킷, 빅쿼리의 테이블, 또는 그밖의 구글 클라우드 안의 모든 것을 나타낸다. 리소스는 2번째 레벨에 있는 프로젝트로 정리된다. 프로젝트는 폴더 또는 심지어 하..

보안/교육 2024.03.02

GCP 기초 #1, 2

https://www.coursera.org/에서 제공되는 Google Cloud Fundamentals: Core Infrastructure 강의를 수강 시작한다. 일주일 동안 무료로 진행되기 때문에, 이후 49달러를 내기 싫다면 일주일간 부단하게 강의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수료해야 한다. 그나저나 한국어가 지원되지 않는 점이 조금 아쉽긴 하다.[1주차] 코스 소개구글 클라우드는 Compute, Storage, Big Data,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Services로 구분된다. 이 강의를 들으며 내가 이해해야 할 것은 6가지이다. 강의가 끝났을 때 아래의 6가지에 답할 수 있기를 바란다. 1. 구글 클라우드 제품 및 서비스의 목적과 가치 파악하기2. 구글 클라우드에서 인프..

보안/교육 2024.03.01

쿠버네티스(Kubernetes) 총정리

1. 쿠버네티스(Kubernetes)의 개념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배포, 컨테이너 스케일링, 디스크 스케일링 및 컨테이너 로드 밸런싱을 자동화하는 오픈 소스 컨테이너 관리 도구다. 컨테이너의 자동 배포 및 확장과 함께 실패한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다시 시작하고, 호스트가 사망하면 다시 일정을 조정하여 회복을 제공한다. 쿠버네티스는 N개의 컨테이너를 쉽게 관리하고, 그것을 배포하기 위해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그룹화할 수 있다. 퍼블릭이건, 하이브리드건, 모든 클라우드 업체와 훌륭하게 작동하기에 각광을 받고 있다. 기업은 쿠버네티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2. 쿠버네티스 사용의 이점 ① 자동화된 구축 및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데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경우 수동으로 개입할 필요가..

보안/개념 2024.02.28

국내 인증 개선, 인증 항목 257→189 대폭 감소, ISMS도 변동

국내에서 운영 중인 총 257개 인증이 통폐합, 삭제 등의 과정을 거쳐 189개로 축소되었다. 유사성, 중복성, 실효성을 따져 개선 조치되었다는 것이 국무조정실의 설명이다. 실제로 다른 선진국의 상황을 살펴보았을 때, 다른 나라는 법정인증은 안전, 의료, 보건으로 한정하기에 우리나라에 비하면 확실히 적은 편이다. 미국 93개, EU 40개, 중국 18개, 일본 14개니 말이다. 뭐 그렇다 한들, 사실 나야 여기서 관심있는 것은 ISMS 뿐이기야 하다. ISMS의 경우, 연매출 100억 이상 의무 → 연매출 300억 이상 의무에 심사 항목과 기간마저 축소하여 엄청난 완화가 되었다. 당장 이 항목만 보면, 아니 그럼 기업 좋은 짓만 시켜주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보안에 있어서 마치 양보를 한..

보안/뉴스 2024.02.28

클라우드 컴퓨팅 총정리

오늘날 클라우드 컴퓨팅은 대기업이건, 스타트업이건, 상당수의 회사에서 채택하고 있다. 운영비용 절감, 유지보수 절감을 비롯하여, 클라우드 공급자의 도움으로 데이터 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많은 회사들이 계속해서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이동하고 있다. 기업의 온프레미스 서버에서 클라우드 공급자로 말이다. 이처럼 급격하게 변화하는 또 다른 이유는 Pay as you go 원칙 기반 서비스, 즉 사용 중인 서비스에 대한 비용만 지불하면 된다는 것이다. 온프레미스 서버가 가지고 있는 최대 단점 중 하나는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회사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걸 해결해주는 것이 클라우드인 것이다. 기존에 클라우드가 등장하지 않았을 때의 상식이 클라우드 이후로 깨졌으니, 온프레미스에서 돈을 지불하는 것..

보안/개념 2024.02.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