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2

서울행정법원 2025. 1. 23. 선고 2023구합71018 판결 [시정명령 등 처분 취소청구의 소]

1. 쟁점▶ 원고(개인정보 처리자)와 웹·앱사업자 간 타사 행태정보 수집의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여부2. 내용이 사건은 SNS 제공자인 ‘원고’ A가 웹이나 앱에서 사용자들의 행동 정보를 어떻게 수집하고 있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특히, 원고가 이용자의 ‘타사 행태정보’, 즉 원고가 아닌 다른 웹사이트나 앱에서 이용자가 어떻게 행동했는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그 법적 책임이 쟁점이 된 것이다. 먼저, 원고가 만든 ‘비즈니스 도구’라는 게 있다. 이 도구를 웹·앱 사업자 B, C가 자기 사이트나 앱에 설치하면, 이용자 행동에 대한 정보가 원고 A 쪽으로 전송된다. 중요한 건 이 정보를 실제로 수집하고 처리하는 주체가 원고 A라는 점이다. B, C는 단순히 도구를 설치하는 역할만 할 뿐, 개인정보 처리..

민원인 - 구직자의 정신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의사소견서나 건강진단확인서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2조제6호에 따른 채용서류에 해당하는지

법제처 2025. 5. 7.자 25-0134 쟁점: 구직자가 밝힌 정신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의사소견서나 건강진단확인서가 채용절차법 제2조제6호에 따른 채용서류에 해당하는지? 단, 여기서의 정신질환은 이 사안에서 업무 수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고, 법령에서 해당 업무에 대해 필수적 고용요건으로 정신질환 관련 내용을 규정하고 있지 않은 경우를 전제한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 사안에서의 의사소견서, 건강진단확인서는 채용절차법에 따른 채용서류에 포함되지 않는다. 채용절차법 제2조제6호에서는 채용서류를 ① 기초심사자료 ② 입증자료 ③ 심층심사자료로 정의하면서, 같은 조 제3호에서 ① 기초심사자료를 ⑴ 응시원서 ⑵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라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② 입증자료는 기초심사자료에 기재한 사항을 증명..

728x90